= [백준, python] 1735번 - 분수 합 | 개발하는 쿼카

[백준, python] 1735번 - 분수 합

백준 문제풀이 시작


문제

분수 A/B는 분자가 A, 분모가 B인 분수를 의미한다. A와 B는 모두 자연수라고 하자.

두 분수의 합 또한 분수로 표현할 수 있다. 두 분수가 주어졌을 때, 그 합을 기약분수의 형태로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기약분수란 더 이상 약분되지 않는 분수를 의미한다.

입력

첫째 줄과 둘째 줄에, 각 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뜻하는 두 개의 자연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. 입력되는 네 자연수는 모두 30,000 이하이다.

출력

첫째 줄에 구하고자 하는 기약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뜻하는 두 개의 자연수를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출력한다.


풀이

풀이 확인하기

해당 문제는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방법인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. 유클리드 호제법이란 두 수가 나눠떨어지지 않는다면 두 수를 나눈 나머지를 구하고, 그 수와 나머지를 나누는 과정을 반복해 나가며 나누어 떨어질 때까지 계산해나가면 그 수가 최대공약수가 되는 것이다. 자세한 내용은 링크. 를 참조하면 좋을 것 같다.

def euc(x, y):
    if((y % x) == 0):
        return x
    else:
        return euc(y % x, x)
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' '))
c, d = map(int, input().split(' '))

e = a*d + c*b
f = b*d

g = euc(e, f)

print(int(e/g), end=" ")
print(int(f/g))